메뉴 건너뛰기

배경이미지

여성심장 - Assessing the Myocardial Function of Postmenopausal Women with Fibromyalgia

조회 수 100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Abstract 

배경섬유근통(Fibromyalgia, FM)환자에서 심혈관 조절에 이상이 있음이 보고 된바 있다. 심혈관의 자율조정능력 이상뿐 아니라 관상동맥질환과 우울증 간의 상관관계가 심혈관질환의 원인으로 여겨져 왔다. 심한 스트레스 상황에 있는 환자에서 일시적 좌심첨 풍선 증후군 (transient apical ballooning syndrome)의 임상적 특성은 명백히 밝혀진바 있으나, 섬유근통환자의 경우와 같이 만성 스트레스가 심근에 미치는 영향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섬유근통 환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초음파 방법인 이면성 그레이스케일 영상 (2-dimension grayscale image)을 이용, 심장 변형 (cardiac strain)값을 구하여 심근변형의 정도를 정량화 하였다.

 

방법: 표준 이면성 변형 심초음파 검사 (2-dimensional strain echocardiography (2DS))를 통해 30명의 비전형적인 흉통을 호소하며 섬유근통 환자인 폐경기 이후 여성 (평균연령: 48±8)를 조사하였다. 고혈압관상동맥질환당뇨병을 가진 환자들은 제외되었다. 3심첨도 (3 apical views)로부터 전반적 그리고 국소적 좌심실 장축변형 (longitudinal deformation) 매개변수들을 분석하였다통점의 통점값 (tender point counts) 알아보기 위해 환자들은 통점관련 설문조사를 작성하였으며, fibromyalgia impact questionnaire (FIQ), the brief fatigue inventory (BFI),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모두 완료하였다.

 

결과전반적 종축 좌심실 변형 (longitudinal LV strain) FIQ점수가 낮은 (18.61% vs. 22.72%)환자보다 높은 (>40)환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또한전반적 그리고 국소적 종축 좌심실 변형은 피로와 통점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우울증과 좌심실 변형과는 유의한 상관관계없었다.

결론 연구는 섬유근통 환자에서 심근의 장축변형의 감소를 보여주었다이는 섬유근통 환자에서 국소적인 심실기능을 평가하기에 변형영상을 사용할 있음을 제안한다고 있다.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