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혈압이란? 혈압이 140/90 이상인 경우 (서로 다른 날 2회 이상 측정)
- 왜 기준이 140/90 일까요? 심장 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율의 차이
심장은 혈액을 전신으로 보내주는 ‘펌프’, 혈관은 혈액을 운반하는 ‘파이프’ - 혈압: 펌프의 힘과 파이프의 저항에 의해 결정되는 혈관내 압력
예) 혈압이 낮다. 순환이 안된다. → 펌프기능이 약하다, 파이프에 저항이 약하다
※ 혈압읽기 혈압 120/80 mmHg 읽기(모두 가능합니다)
① 높은 혈압 120 / 낮은 혈압 80
② 최고 혈압 120 / 최저 혈압 80
③ 수축기 혈압 120 / 이완기 혈압 80
2. 고혈압의 위험인자
- 비만: 체중이 늘면 혈압 상승
- 운동부족: 체중 증가의 원인
- 흡연: 혈관의 노화 및 동맥 경화증과 관련
- 식이: 과도한 염분 섭취, 칼륨 섭취 감소, 술
- 스트레스: 스트레스 호르몬과 관련
3. 고혈압의 증상(개인차 有)
- 증상없는 병 ‘고혈압’: 침묵의 살인자, 소리 없는 저승사자 → 매년, 1-2회 측정 필요
“ 머리가 띵하다.”“ 뒷목이 당긴다.”“ 숨이 차고 몸이 붓는다.”
4. 고혈압 진단
- 혈압을 측정하여 진단
- 진단 기준: 2차례 이상 외래 방문하여 140/90 이상
- 자가혈압측정: 가정 혈압 측정
- 긴장/환경에 따른 혈압 측정 오류 방지, 진단 및 치료 방향에 도움
- 가정 혈압 측정의 예시: 하루 2차례 × 7일간 기록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
아침 | ○ | ○ | ○ | ○ | |||
점심 | ○ | ○ | ○ | ||||
저녁 | ○ | ○ | ○ | ○ | |||
밤 | ○ | ○ | ○ |
※ 자가혈압 측정시 주의점
① 운동 후에는 1~2시간 지난 뒤 측정
② 커피나 담배 이후에는 30분 지난 뒤 측정
③ 음주 후에는 측정이 부정확
④ 팔은 심장 높이에 두고 측정
⑤ 다시 측정하는 경우 2분 간격으로 측정
5. 고혈압의 치료
1) 치료원칙
- 완치 보다는 조절하는 질환
- 약물 치료 및 생활습관의 개선을 병행
- 약물 치료의 필요성 : 의사의 상담에 따라 결정
구분 | 목표 혈압 |
일반 고혈압 | 140/90 mmHg 미만 |
당뇨병, 만성 콩팥병, 심근경색 | 130/80 mmHg 미만 |
단백뇨(1g/일) 이상 | 125/75 mmHg 미만 |
2) 약물치료
① 꾸준히 복용해야 합니다.
② 매일 의사처방에 따라 일정한 시간에 복용합니다.
③ 규칙적 식사를 해야 혈압 약제의 효과가 잘 나타나고, 안전합니다.
④ 고혈압 약제에 따라 다른 약제와 상호작용할 수 있어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십시오.
6. 고혈압 예방
①.체중 조절
② 규칙적 운동
③ 식이 조절(저지방, 저염분)
④ 금연
⑤ 절주